9.메모리 장착
마더보드 설명서에는 메모리 개수에 따라 권장하는 구성 방법이 안내되어 있습니다. 이번 조립에서는 2개를 장착하기에 CPU 소켓을 기준으로 2번째(A2), 4번째(B2) 슬롯에 장착하였는데요. 메모리 PCB 홈과 마더보드 메모리 슬롯 경계 부분을 맞춰 장착하면 됩니다. 또한 DDR4와 DDR5 홈 위치도 차이가 있으니 이점 주의하셔야 합니다.
10.그래픽카드 장착
그래픽카드 브래킷 면적을 확인 후 케이스 확장 슬롯 커버를 제거합니다. 사용한 그래픽카드는 브래킷이 2슬롯이라 표시한 슬롯 커버 2개를 제거하면 됩니다.
그래픽카드를 장착 후 보조 전원 커넥터를 연결합니다. ATX 3.0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했기에 변환 젠더없이 12VHPWR 커넥터를 직결할 수 있습니다. ATX 3.0 규격이 아니거나 12VHPWR 커넥터가 없는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한다면 그래픽카드에 동봉된 12VHPWR to 8PIN 변환 젠더를 이용하면 됩니다.
최근 고성능 그래픽카드가 워낙 무거워졌는데요. 케이스에 그래픽카드 지지대가 있다면 부품 내구성을 위해 가급적 이를 이용하는 걸 권장합니다.
11. 조립 마무리
위 과정들을 거쳐 거의 완성한 본체의 모습입니다.
여기에 조립 작업 초반에 분리해 놓은 측면 패널을 다시 장착합니다.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케이블을 연결하고, 패널에 붙은 보호필름을 제거해 주면 본체 조립은 모두 끝나게 됩니다. 조립 과정에서 패널에 지문이나 이물질이 많이 묻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게 좋습니다.
-요약-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조립 과정
글과 여러 장의 사진으로 설명해서 길이가 다소 길어 보이지만, 조립 과정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순수 조립에 드는 시간보다는 그전에 견적을 짜면서 부품을 선택하는 데에 아마 시간이 더 들어갈 겁니다. 모든 부품을 준비하고 조립에 들어가면, 부품 구성과 조립 당사자 선호도에 따라 순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인 틀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니, 위 순서를 참고하시면 조립에 도움이 될 겁니다.
설명서 필독!
위 조립 과정에도 설명서 내용 일부를 첨부하기도 했지만, 숙련자, 초보자 상관없이 설명서는 반드시 제대로 살펴봐야 합니다. 간혹 제대로 읽지 않고 조립하다 보면 잘못된 과정으로 다시 몇 단계를 되돌아와야 할 때가 있는데요. 시간 낭비는 물론, 제품에 손상을 줄 수도 있기에 항상 경계해야 합니다. 심각할 경우 A/S 처리도 받지 못하고, 다시 부품을 구매해야 할 수도 있기에 뒤늦은 후회보다는 미리 설명서를 챙겨보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주의 사항
여러 가지 부품을 조합해야 하는 만큼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부품 체결 시 올바른 위치에 들어가도록 홈과 돌기를 잘 확인해야 하고, 각종 커넥터는 올바른 위치에 끝까지 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문제라면 크게 상관없지만, 접촉 문제로 자칫 스파크가 튀거나 심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근 강화유리 패널이 케이스 기본 사양으로 따라오는데, 운이 나쁘면 작은 충격으로도 파손될 수 있으니, 다룰 때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익숙해지기 전에는 가급적 전동 드라이버보다는 일반 드라이버를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체결할 나사가 많다 보니 일반 드라이버 사용이 귀찮을 수도 있는데, 전동 드라이버는 한순간만 방심해도 부품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컴퓨터 조립은 자신만의 맞춤형 PC를 만들고 IT 기술을 익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 가이드가 초보자에게 친절한 안내서가 되길 바랍니다. 조립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컴퓨터를 완성하고, 성취감을 느껴보세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합니다.^^